작다

작다는 길이나 넓이, 부피 등이 일정한 기준이나 보통보다 덜하다는 의미이고, 적다는 수효나 분량, 정도 등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작다와 적다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 작다적다가 헷갈릴 때는 반대말을 떠올려 보세요, 0 투표 수효나 분량, 정도 따위가 일정한 기준을 넘다. I live in a small town.

반의어 크다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키와 덩치가 작다.

사고란 어떤 대상을 파악하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조직하고 구성하는 모든 정신적 활동을 말한다. 문의하신 경우에 피해량이라면 적다많다와, 피해 규모라면 작다크다와 호응하여 쓰일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비교적 구분하기 쉬운 작다와 적다입니다, 가능성 「001」 「명사」 앞으로 실현될 수 있는 성질이나 정도. 동사 dongsa korean verb conjugator. 많다의 뜻으로 쓰이던 중세 한국어 어휘를 찾으면 된다. 작다와 적다는 모두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작다와 적다는 모두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정해진 크기에 모자라서 맞지 않다는 뜻도 있어. 기본적인 뜻은 양이 적다few이며, 크기가 작다small의 뜻을 가진 小작을 소와는 서로 의미와 발음이 구별된다.

작다 부피, 넓이 따위가 일정한 기준이나 보통보다 덜한 상태에 있다.

적다 수량이나 정도가 부족하거나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의 인구 수는 중국보다 확연히 적다. 한국어에서 작다와 적다는 혼동하기 쉬운 형용사지만, 각각의 의미와 쓰임이 다르다, 언제 작다를 쓰고 적다를 쓰는지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잠만 잔 사람이 아니라면 아마 ᄒᆞ다와는 별개로 있던 하다를 기억할 것이다. 라는 뜻으로 쓰이는 ‘크다’와 일의 규모, 범위, 정도, 중요성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 수준에 미치지 못하다.

일상에서 돈과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때, 우리는 종종 금액이 작다 또는 금액이 적다라고 말합니다.

우리 아빠보다 선생님이 나이가 더 적다.. 이럴 경우 문맥을 보고 비교 대상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서 적다인지 작다인지 구별하는 건가요..

옷의 크기가 작음 글씨가 적다 → 틀림.

가능성 「002」 「명사」 앞으로 성장할 수 있는 성질이나 정도, 정도에 대하여 적다많다나 작다크다를 쓸 수 있습니다, 두 단어를 똑같은 의미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These clothes are really small.